Naar inhoud springen

Zoekresultaten

Er zijn voor uw zoekopdracht geen resultaten op deze site.

Resultaten uit de Koreaanse Wikipedia.

  • 답돈 (categorie 오환 사람)
    답돈(蹋頓, ? ~ 207년)은 오환(烏丸)의 왕이다. 구력거(丘力居)의 조카이며 누반(婁班)의 사촌형이다. 답돈은 요서오환의 수령 구력거(丘力居)의 조카로 꾀가 많고 지략이 빼어나며 사납고 용맹해 여러 부족의 장로들은 모두 그를 흉노제국의 전설적인 선우 모돈에 비견했다고...
    6 kB (530 woorden) - 4 jun 2024 08:43
  • 구력거 (categorie 오환 사람)
    아직 나이가 어렸으므로, 조카인 답돈이 구력거의 뒤를 이었다. 삼국지 인물 목록 진수, 《삼국지》 8, 위서 이공손도사장전 중 공손찬전 《삼국지》 30, 위서 오환선비동이전 중 오환전 범엽, 《후한서》(5세기), 〈제90 오환선비열전(烏桓鮮卑列傳)〉 (漢文本)...
    1 kB (105 woorden) - 5 jun 2024 02:13
  • 중평 연간에 일어난 양주의 난으로 인해 유주에서도 오환돌기(烏桓突騎) 3,000명을 모아 지원하게 되었으며 그 도독은 공손찬이 맡았다. 그러나 군량 지급이 자꾸 미뤄지자 오환족들은 본국으로 돌아가버렸다. 당초 오환돌기의 통솔을 청했지만 공손찬에게 밀려 불만을 품었던...
    27 kB (2.512 woorden) - 3 jun 2024 01:06
  • 78년), 대장군 곽광은 오환을 노리는 흉노를 치려 하였다. 호군도위 조충국은 반대하였으나 중랑장(中郞將) 범명우는 찬성하였고, 곧 도요장군 겸 위위가 되어 요동으로 출진하였다. 흉노는 한나라 군세가 온다는 소식을 듣고 물러났으나, 흉노가 물러가면 오환을 치라는 명을 받았던...
    4 kB (336 woorden) - 7 mrt 2022 13:58
  • 자치구 츠펑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8294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590,000명이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오환왕국(烏桓王國)으로 나온다. 7개 진, 7개 향, 1개 소목을 관할한다. 진: 新惠镇, 四家子镇, 长胜镇, 贝子府镇, 四道湾子镇, 下洼镇...
    3 kB (145 woorden) - 9 jun 2024 03:59
  • 원소(袁紹)는 조서(詔書)를 꾸며 답돈을 오환선우(單于)로 삼고 한로왕 오연(烏延) 과 초왕 소복연(蘇僕延) 등 다른 3군 오환의 지도자들을 제각기 좌,우 선우로 삼아 답돈의 명령을 받들도록 했다. 범엽, 《후한서》(5세기), 〈제90 오환선비열전(烏桓鮮卑列傳)〉 (漢文本)...
    1 kB (79 woorden) - 6 feb 2022 12:51
  • 천비(天鄙)를 칭한다.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제30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은 동예, 부여, 고구려, 옥저, 왜를 동이에 해당하는 항목에서 서술하고 있다. 《진서》(晉書)97 〈사이전〉(四夷傳)에는 동이 항목에서 부여국, 마한, 진한, 숙신씨(肅慎氏)...
    8 kB (787 woorden) - 6 apr 2024 03:41
  • 《후한서》(5세기), 〈제85〉 “土肥美,背山向海,宜五穀,善田種,”(흙은 비옥하고 좋으며 산을 등지고 바다를 향하고 오곡이 마땅히 잘 되며 밭농사에 좋다.) 《삼국지》〈위지〉오환선비동이전 옥저전(其土地肥美,背山向海,宜五穀,善田種.) 범엽, 《후한서》(5세기), 〈제85〉...
    9 kB (908 woorden) - 2 mei 2024 09:02
  • 삼국유사 (doorverwijzing vanaf 삼국유사 3~5)
    왕침의 위서의 경우 그 내용 가운데 일부가 배송지의 진수 편 위서 주석을 통해 인용되기는 했으나, 마지막 권인 오환선비동이전에서는 오환과 선비 부분에서만 왕침의 위서를 전재하고 동이전에서는 한 마디도 인용하지 않았음을 들어 과연 왕침의 위서에 동이열전이라는 항목이 존재하기는...
    36 kB (3.773 woorden) - 2 mei 2024 09:42
  • 207년 조조가 원상과 오환을 마저 정벌하려 하기에 장료는 다른 장수들과 함께 ‘유표가 유비를 시켜 허도를 기습할 수도 있다’며 말렸다. 그럼에도 조조는 ‘유표는 유비를 신임하지 않는다’는 곽가의 진언에 따라 출병하였고 장료는 이를 수행하였다. 원상과 오환 연합군은 유성(柳城...
    23 kB (2.305 woorden) - 3 jun 2024 01:43
  • 돌입하여 원담을 격멸하는 데 공을 세웠다. 별도로 옹노(雍奴)도 격파하였다. 광평(獷平, 지금의 베이징시 미윈 구) 방면으로 침입한 오환을 상대하러 조조가 출정한 틈을 타 병주자사 고간이 호관(壺關)을 틀어막고 사례로 남하하였다. 이전과 같이 상당으로 나아가 호관을 공격하였다...
    8 kB (750 woorden) - 3 jun 2024 12:36
  • 덕분에 유비가 후퇴하였다. 204년 업이 함락되자 복파장군(伏波―)을 겸하고 편의종사가 허락됐다. 205년 조조가 광평(獷平) 방면에서 오환을 상대하는 틈을 타 병주 자사 고간이 호관(壺關)을 틀어막고 사례로 남하하는 것을 사례교위 종요와 함께 막았다. 207년 그동안의 공로를...
    11 kB (990 woorden) - 3 jun 2024 03:07
  • 훗날 염유는 오환도위(烏丸都尉) 형거(邢舉) 등을 죽이고 그 작위를 빼앗았다. 초평(初平) 4년(193년), 공손찬(公孫瓚)이 대사마(大司馬) 유우(劉虞)를 죽였다. 유우의 종사(從事) 선우보(鮮于輔) 등은 원수를 갚기 위하여 염유를 오환사마(烏丸司馬)로 추대하였다...
    3 kB (270 woorden) - 4 jun 2024 13:26
  • 오환족이 귀순하려 했을 때도 공손찬은 유우가 공을 세우는 것도 오환과의 화친도 원치 않았으므로, 오환에서 유우에게 보낸 사자를 죽이고 유우에게 공적이 돌아가는 것을 방해하려 했다. 난이 평정된 뒤에 오환은 모두 국경 밖으로 떠났고, 유우는 조정에 주청하여 각 처의 주둔병들을...
    12 kB (1.078 woorden) - 4 jun 2024 05:41
  • 초촉 (doorverwijzing vanaf 오환)
    오환촉(烏桓觸)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오환촉은 유주의 관리들에게 일제히 맹세하게 하고 조조에게 항복하려 하였으나, 한형이 맹세를 거부하자 굳이 강요하지 않았다. 이 사건이 《삼국지》 위서 원소전과 《자치통감》 64에서는 초촉이 벌인 일로 나와 있으므로, 오환촉은...
    4 kB (363 woorden) - 14 dec 2023 15:22
  • 않았으나 장성해 군을 이끌게 돼서는 엄정하게 법령을 준수하여 항상 조문을 옆에 두고 살피며 업무를 보았다. 218년, 태자 조비가 오환 정벌을 떠나는 언릉후(鄢陵侯) 조창에게 법을 받드는 것은 조인처럼 해야한다며 그 모범으로 언급할 정도였다. 부현(傅玄)은 조인의 용맹이...
    13 kB (1.214 woorden) - 3 jun 2024 04:05
  • 장사(長史)에, 의랑 도겸을 사마(司馬) 임명하고 별부사마(別部司馬) 손견을 도겸과 함께 두었다. 공손찬도 오환돌기(烏桓突騎)의 감독으로 종군하였으나, 오환이 반란을 일으켰기 때문에 유주로 돌아갔다. 예전에 장온이 사공을 지냈을 때, 이따금 예를 갖추어 장현(張玄)을...
    14 kB (857 woorden) - 17 mei 2024 04:53
  • 가능성이 높고, 나중에 후한 시절의 치소인 양락현으로 옮겼을지도 모른다.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후한이 건국된 이후 만리장성이남으로 오환이 남하하면서 해양현, 영지현, 비려현, 임유현, 양락현의 5개현을 제외한 모든 현들이 폐지되거나 진저우시 일대에 신설된 요동속국으로...
    8 kB (226 woorden) - 11 jan 2024 02:17
  • 『위서』(열전 제88) 『수서』(열전 제49 북적) 『북사』(열전 제82) 『구당서』(열전 제149 하(下) 북적) 『신당서』(열전 제144 북적) 『신오대사』(사이부록 제3) 『요사』(본기 제1 태조 상(上), 본기 제2 태조 하(下), 본기 제24 도종 사(四))...
    6 kB (592 woorden) - 16 mei 2024 07:51
  • 황조가 방파제 역할을 하였지만 그 피해가 누적되었다. 조카 유반과 황충은 장사군 유현(攸縣)에서 수비하였다. 207년 조조가 원상과 오환 정벌을 위해 북쪽으로 원정한 사이 유비가 허도를 급습하자고 했으나 움직이지 않았다. 208년 손권으로부터 꿋꿋이 강하를 지켜내던 황조가...
    17 kB (1.507 woorden) - 25 mei 2024 18:07
  • 북흉노의 공격을 막았다. 오환이 대군 북쪽에 거주했다. 공우(恭友, ? ~ 기원전 126년) 소건(무제 시기) 임선(기원전 66년 ~ ?) 풍참(영시 연간 ~ ?) 임굉(기원전 8년 ~ ?) 배잠(215년 ~ 218년) 반고: 《한서》 1 하 고제기제1 하 위키문헌에...
    7 kB (367 woorden) - 11 jan 2024 02:14